또 '낙동강 오리알'된 사이버보안업

페이지 정보

작성자 cfpa 댓글 0건 조회 635회 작성일 23-03-13 11:28

본문

출처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31120531510267


"9개 부처가 발표한 모태펀드 출자대상 부문에 '사이버보안'이 가까스로 이름을 올리기는 했으나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투자대상 중 우선순위를 고려하는 과정에서 사이버보안이 또 밀려날까 우려된다."

사이버보안 업계 한 관계자의 푸념이다. 올들어 대규모 개인정보 탈취 사고에 디도스(분산서비스거부공격) 공격과 서비스 장애, 외국발 해킹공격이 발생했음에도 사이버 보안업에대한 정책자금 지원은 소외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달 초 중기벤처기업부는 4805억원의 정부출자를 통해 1조755억원 규모의 모태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중 2000억원 규모(정부출자 1000억원)의 초격차 펀드가 이번에 신규로 조성된다. 10대 초격차 분야와 딥테크(기저기술) 부문의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펀드로 △바이오 △미래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시스템 반도체 △빅데이터·AI(인공지능) △우주항공·해양 △차세대 원전 △양자기술과 함께 △사이버보안·네트워크 부문을 더해 총 10개 분야에 투자하는 데 쓰인다. 


모태펀드는 정부가 투자재원을 공급한 후 민간 출자자의 자금을 더해 정책적 육성·지원이 필요한 부문에 투자하는 자금이다. 정부의 육성·지원 의지가 반영된 만큼 민간에만 의지했을 때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자금이 투자대상에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외국자본의 투자를 유인하는 효과도 있다. 그만큼 모태펀드 투자대상에 명시적으로 거론되는지 여부는 해당 산업이 얼마나 주목받는지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로 간주된다.

그런데 업계는 숙원인 모태펀드에 사이버보안이 진입에도 표정이 밝지 못하다. 세부 항목에 이름을 올리긴 했지만 실효성있는 투자가 이뤄질지 미지수여서다. 실상 초격차 펀드의 투자대상 부문 중 사이버보안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대적으로 민간투자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모태펀드를 통해 투자금을 운용하게 될 운용사 입장에서도 사이버보안 이외의 부문에 더 매력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는 고질적으로 반복되어온 이슈다. 세계 최고 수준의 IT인프라를 갖추고, 북한과 중국, 러시아 등과 접해 안보측면에서도 해킹대응 역량을 키워야하는 한국이다. 

보안산업 육성은 필수 불가결하다. 그럼에도 국내 보안 유니콘은 손에 꼽을 정도다. 지난해 9월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정보보안 기업의 93%(669개사 중 623개사)가 자본금 5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이고 연평균 매출도 68억원에 불과하다. 


20여년간 각종 보안인증 등 규제에 묶여 혁신 보안기술을 개발해도 판로를 개척하지 못했고 해외진출에도 발목이 잡혀 기업가치가 제자리 걸음한 것이다. 업계가 보안 벤처, 스타트업을 제대로 키울 정책펀드를 호소해온 이유도 이 때문이다. 지금처럼 여러 투자대상 중 하나로만 거론되면 밸류에이션상 차별이 뻔하다.

한 보안업계 관계자는"단 50억, 100억원이라도 좋으니 사이버보안에만 투자되는 전용 정책펀드가 절실하다"고 했다. 대규모 보안사고가 터져야만 보안산업 육성 중요성을 뒤늦게 깨닫는 일이 반복된다. 이제라도 혁신보안 기업을 육성할 투자의 물꼬를 터야한다는 업계 호소에 귀를 기울여야한다.